전체 글 701

삿다르마 푼다리카

꿈에서 배우는 것들 배움이라는 말을 내가 풀어낸 것은 말그대로 배안에서 생수의 움을 판다는 것인데 움은 우물泉(井)이고 새싹(芽)이고 두 손을 합함(廾)이다. 生水 즉 물이 남이다. 물이 나오도록 샘을 파는 것을 배움이라고 하고 생수는 산물이다 산물에 대하여 사물이 있지. 사물은 불에 익힌 물, 끓인 물이다 샘물은 찬물(寒水)이고 공물은 끓인 물(熟水)이다. 공물이라 함은 차운 기를 끓여서 익혀 찬기가 없다고 공물空水이라고 하는 것이고 정화수를 장독대위에 올리고 두 손을 돌리며 비나리하는 것은 찬물같은 차가운 인생살이 따습게되기를 그리하여 배탈이 나지 않기를 바라는 엄마의 마음이 외연화된 것이다. 찬물을 올리고 공물을 받는 것 공수받는다는 것은 조상의 한을 비나리하여 풀어서 따습게 하여 풀어내는 과정에서..

국향선菊香腺 2021.02.19

삿다르마 푼다리카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산스크리트어: सद्धर्मपुण्डरीक सूत्र 삿다르마 푼다리카 수트라Saddharma pundarika sutra →흰 연꽃과 같은 올바른 가르침, 「삿다르마」는 「바른 법(正法, 진리)」, 「푼다리카」는 백연꽃 물음이 전공(재능, 성질, 사주에서 년주와 시주가 길게 선을 만들어 만나면 동그라미가 된다 마찬가지로 등을 대고 붙어있는 월주와 일주를 벌려놓으면 一이 되고 둘을 합하면 日이 된다 사주에서 일주를 중심으로 하는 이유가 년월일시를 통합하고 있는 몸이 주인이어서이다 사를 亖로 쓰는 것이 나에게는 뜻만들기에 용이하다. 二二를 수직배치한 것이니까 二를 두라고 한다. Do는 일반 동사의 뜻으로는 하다라는 의미가 있다 하고 한다. 하고 한다는 것은 반복이고 우리말 두는 ..

국향선菊香腺 2021.02.18

논리論理 logic(로직),dialectics(다이아렉티스)

논리論理 logic(로직),dialectics(다이아렉티스) 그대가 논리logic라고 대하면 어떤 생각이 스윽 지나가는가? 그냥 논리지..라고 하는가? 논리는 내가 이해하기로는 말의 행간이나 글의 자간에 들어있는 이야기를 찾아내어 엮어가기이다, 즉 내 주장을 너에게 설득할 수 있는 어휘를 가지런하게 나열하는 것이다 논論을 '논의하다'고 하는데 논의가 무엇인가를 설명하는 것이 한자 論 言侖이다. 말言을 돌리는 侖 것이다. 말言이라는 것을 놓고 그것이 만들어진 과정 侖을 되감기, 되돌리기 귀납해서 말이 출발한 자리를 찾아서 다시 돌리기, 연역을 하여 지금의 쓰임의 값을 계산하는 것, 게마트리아이다. 어원을 찾고 쓰임의 내력을 찾아서 지금회자되는 쓰임에 얼마의 에너지가 발생하는가를 계산(게마트리아)을 하는 것..

국향선菊香腺 2021.02.17